외국인등록 |
|
 |
일본에서 체류하는 모든 외국인은 90일 이내에 외국인등록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. |
|
때문에 현지 도착후 주거지가 결정되면 빠른 시일내에 관할 구청이나 시청에 가서 외국인등록 |
|
을 합니다. 등록할 때에는 사진 2매와 여권을 가지고 갑니다. 신청후 1-2주 정도면 외국인등록 |
|
증명서라고 적혀 있는 신분증을 발급 받게 되고, 이것은 일본생활을 마칠때까지 자신의 신분을 |
|
나타내는 증명서이므로 분실에 유의하며 항상 소지하고, 완전 귀국시 필히 반납해야 합니다. | |
|
국민건강보험 |
|
 |
외국인등록과 함께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것이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. |
|
짧지 않은 기간에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 일이기 때문입니다. 자칫 한달에 몇푼 안되는 돈이 |
|
아까워 그냥 지나칠 수도 있겠지만 가능한 한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. |
|
가입은 외국인등록을 마친후 바로 해당 부서에 가서 하면 되고, 특히,가족과 함께 유학을 준비 |
|
하는 사람들에겐 나중에 여러가지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| |
|
재입국허가 |
|
 |
90일 이상의 장기체류를 위해 일본에 입국하는데 사용하는 비자는 일반적으로 1년간 유효한 |
|
단수비자입니다. 즉, 일본에 들어올 때 단 1번 사용할 수 있는 비자라는 뜻입니다. |
|
잠시 본국 또는 외국을 여행하기 위해서는 재입국허가를 받아야 합니다. 入国管理局(입국관 |
|
리국)에 허가신청을 하는데, 도쿄는 品川(시나가와)에 있습니다. |
|
준비물- 여권, 외국인등록증(외국인등록증명서교부예정서) |
|
|
 |
입국관리국 가는 방법 |
|
①JR 山手線의 品川駅에서 내린다. |
|
②東口로 나가서 입국관리국으로 가는 버스(8番バス乗り場)를 탄다 |
|
버스정류장 위 천막에 크게 적혀 있으므로 찾기 어렵지 않다. 요금은 200엔(선불)! |
|
③입국관리국 앞에서 하차, 1층의 ampm편의점에서 재입국허가 신청을 위한 인지를 산다. |
|
(인지는 단수가 3,000엔, 복수가 6,000엔으로 자주 나오는 경우는 복수로 신청하는 것이 유리) |
|
④2층으로 올라가서 재입국허가 신청을 받는 창구를 찾는다. 안내표시가 있으므로 찾기 쉽움. |
|
⑤재입국허가신청서, 인지를 붙이는 서류를 작성한다. |
|
⑥번호표를 뽑음. 미리 번호표를 뽑아도 되지만 경험상 지나가므로 다시 뽑을 가능성이 높음. |
|
⑦기다렸다가 번호가 전광표에 표시되면 창구로 가서 준비한 서류(여권, 외국인등록증, 재입국 |
|
허가신청서, 인지 붙인 서류)를 제출함. |
|
⑧아까의 담당직원이 이름을 부르면 가서 여권에 재입국허가증(상륙허가 표시와 비슷함)이 붙 |
|
어 있는지 틀린 내용은 없는지 확인하면 끝입니다. |
|
* 점심시간은 12시 ~ 1시인데, 이 시간대에 가면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지므로, |
|
오전에 가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 | |
|
|
|
은행(통장개설) |
|
 |
일본에서 6개월 이상 체류하는 외국인은 일본의 시중은행에서 은행구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. |
|
은행구좌를 개설해 두면 체재비, 장학금 수령, 공공요금 지불 등에 매우 편리합니다. 또, 구좌 |
|
개설시 현금카드를 함께 만들면 인출시 현금자동지급이 용이합니다. |
|
유학생이 은행계좌를 개설하려면 외국인 등록증이 필요합니다. |
|
개설과 동시에 현금(100엔 이상) 을 입금해야하며, 현금카드를 신청할 경우 은행에 비밀번호를 |
|
등록해야 합니다. 은행은 월~금요일까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영업하며 토, 일요일은 휴 |
|
무입니다. 현금카드는 월~금요일 오후 7시까지, 토요일은 오후 5시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. |
|
|
|
도심지의 역앞은 은행에서는 일요일도 오후 5시까지 이용할 수 있는 곳도 많습니다. |
|
통장개설 시 구비서류는 여권, 외국인등록증, 한자도장, 연락처 입니다. |
|
혹시, 외국인등록증을 발급받기 전에 통장이 필요할 경우 인감과 여권, 외국인등록증명서로 |
|
만들면 되는 은행도 있습니다. | |
|
송금받을 때 |
|
 |
먼저 통장을 개설해야 하고, 송금을 받을 때는 수수료가 물어야 합니다. 그런데 그 수수료 금액 |
|
이 똑 같은 금액일지라도 은행마다 다릅니다, 유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은행으로는 리소나 |
|
은행, 도쿄미쯔비시은행, 미쯔이 스미토모은행 등이 있습니다. 이중 수수료는 리소나 은행은 |
|
1500엔, 도쿄미쯔비시은행과 미쯔이 스미토모은행은 2500엔, UFT은행은 3000엔이 적용됩니다. |
|
이렇게해서 은행이 정해지면 송금인에게 은행명, 지점번호, 지점명, 계좌번호, 이름(영문)을 알 |
|
려주변 됩니다. |
|
본인 통장에 입금 되기까지는 2일정도 걸리며, 은행에 따라 확인전화가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. | |
|
우체국 |
|
 |
일본에는 어느 동네를 막론하고 집 근처 가까운 곳에 미니우체국이 있습니다. 우체국에서는 우 |
|
편업무 외에도 보험, 송금 및 전기, 가스 등 공과금의 수납 업무도 하고 있습니다. |
|
우체통도 시내 곳곳에 설치되어 있으면, 일본에서의 국내 우편요금은 기본이 80엔이고 한국으로의 |
|
국제우편 기본요금은 90엔입니다. 한국까지 항공우편은 4일정도 소요되며 요금이 조금 |
|
저렴한 선편 국제우편은 9일정도 소요됩니다, 선편 우편은 부피가 큰 소포를 보낼 때 이용하는 |
|
것이 좋습니다. | |
|
전화 |
|
 |
전화사용방법은 우리나라와 동일합니다. 시내 공중전화를 걸때는 10엔을 넣고 통화합니다. |
|
1분이 초과되면 동전을 넣으라는 신호음이 들립니다. 국제전화는 전화카드나 동젼을 사용하면 |
|
됩니다. 숙소에 개인전화를 신청할 경우엔 전화국에 신청하면 되는데 전화 청약비는 74,984엔 |
|
이고 설치비용이 약 8,000엔정도입니다. 청약비와 설치비는 전화반납 시 환불되지 않으므로 신 |
|
청시 자세히 알아본 뒤 임대전화 등을 신청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, |
|
특히 요즘엔 휴대폰 가격이 매우 싸기 때문에 유학생들은 휴대용 전화를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 |
|
다. 휴대폰은 판매회사마다 요금체계가 모두 다르므로 꼼꼼하게 확인하고 구입해야 합니다. |
|
전화번호 안내는 104로 걸면 되며 요금은 한 번호당 30엔입니다. |
|
현재는 출국전에 핸드폰을 신청하는 하여 가지고 가는 경우와 일본에서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. |
|
한국으로 급하게 콜렉트콜 전화를 사용할 경우는 0051을 누르면 교환원이 나와 연결시켜주며 |
|
교환원의 대부분이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.
출처 : 일본유학N | |
댓글 없음:
댓글 쓰기